분류 전체보기 69

실무 PM 가이드 4. 프로젝트 관리 툴 비교

프로젝트의 성공 여부는 팀의 역량뿐 아니라 어떤 도구(툴)를 사용하는지에 크게 좌우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현장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프로젝트 관리 툴(프로젝트 관리 소프트웨어)을 비교하고, 조직(기업/스타트업/프리랜서)에 맞춘 선택 기준과 도입 팁을 제공합니다. 특히 애자일(Agile), 워터폴(Waterfall) 등 다양한 방법론을 지원하는 툴을 중심으로 실제 운영 관점에서 평가합니다.왜 프로젝트 관리 툴이 중요한가?프로젝트 관리 툴은 일정 관리(스케줄링), 자원 배분(리소스 관리), 태스크(작업) 추적, 커뮤니케이션(협업) 기록, 리포팅(보고서) 기능을 통합합니다. 적절한 프로젝트 관리 툴을 선택하면 업무 가시성(visibility)이 높아지고, 병목 현상(병목) 파악이 쉬우며, 의사결정 속도가 빨라..

프로젝트관리 2025.10.01

실무 PM 가이드 3. IT 프로젝트 관리 전략

IT 프로젝트 관리(IT project management)는 단순한 일정·비용 관리가 아니라 비즈니스 목표 달성을 위한 전략적 활동입니다. 본문에서는 IT 프로젝트 관리의 핵심 원칙, 라이프사이클(요구·설계·개발·테스트·운영), 거버넌스(프로젝트 거버넌스), 리스크 관리(위험관리)와 실무 팁을 중심으로 설명합니다.1. IT 프로젝트 관리의 목적과 핵심 원칙IT 프로젝트 관리의 목적은 '정해진 범위(scope), 일정(schedule), 비용(cost) 내에서 요구사항(요구사항)을 충족시키고 품질(quality)과 성과(value)를 전달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다음 원칙을 지켜야 합니다.- 목표 정렬: 프로젝트 목표를 비즈니스 목표(사업전략)와 일치시킵니다. IT 프로젝트 관리에서 목표가 명확하지 ..

프로젝트관리 2025.09.29

실무 PM 가이드 2. 프로젝트 매니저 개념과 역할

서론프로젝트 매니저는 현대 조직에서 프로젝트 성공의 핵심 역할을 맡습니다. 프로젝트 매니저는 단순히 일정을 관리하는 사람이 아니라, 프로젝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범위, 비용, 시간, 품질, 리스크 및 이해관계자(이해관계자)를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총괄 책임자입니다. 이 글에서는 프로젝트 매니저의 개념과 역할, 필요한 역량, 실무 적용 포인트를 실무 중심으로 정리합니다. 이 글은 실무 PM 가이드 시리즈의 두 번째 편으로, 현장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와 팁을 제공합니다.1. 프로젝트 매니저란프로젝트 매니저는 특정 기간 동안(일정) 한시적으로 수행되는 프로젝트의 목표(성과물)를 달성하기 위해 자원(인력, 예산, 장비 등)을 계획하고 조율하는 역할입니다. 프로젝트 매니저는 프로젝트의 시작부터 종료까..

프로젝트관리 2025.09.26

실무 PM 가이드 1. 프로젝트 관리의 기본 개념과 중요성

서론프로젝트 관리(프로젝트 매니지먼트, PM)는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제한된 시간과 자원(예산, 인력)을 효과적으로 배분하고 통제하는 과정입니다. 오늘날 거의 모든 산업(IT, 건설, 제조, 서비스)에서 필수적인 능력으로 자리잡은 프로젝트 관리는 단순한 일정 관리가 아니라 전략적 가치 창출을 위한 핵심 활동입니다. 이 글에서는 프로젝트 관리의 기본 개념(정의, 구성요소, 생애주기)과 그 중요성(조직적·개인적 이점), 실무 적용 시 유의사항(리스크, 커뮤니케이션, 툴)을 중심으로 정리합니다.프로젝트 관리의 정의와 핵심 요소프로젝트 관리(이하 ‘프로젝트 관리’)는 목표(Deliverable)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Plan), 실행(Execute), 통제(Control), 종료(Close)의 반복적·체..

프로젝트관리 2025.09.24

IT Counsulting에서 자주 나오는 용어 - ISP, ISMP, BPR 외

ISP(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정보화 전략계획 조직 내의 전략적 정보 요구를 식별하고, 업무활동과 이에 대한 자료 영역을 기술하며, 정보시스템 개발을 위한 통합된 프레임워크를 제공하고, 이의 구현을 위한 통합 정보 시스템 계획을 작성하는 체계적인 접근 방법 ISMP(Information Service Master Plan) 정보시스템 마스터플랜특정 정보시스템 구축 사업에 대한 제안요청서(RFP)를 마련하기 위해 목표시스템을 개념적으로 구조화하는 수준에서 나아가, 관련 업무 및 정보기술 현황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이용자 요구사항을 상세하게 분석하여 목표시스템의 기능적, 기술적, 비기능적(성능, 품질, 보안), 프로젝트 지원 요구사항을 상세히 도출하는 활동으로, 해당 사업의..

IT Cousulting 2023.12.21

신입기획자를 위한 미니 가이드북 웹기획 쓰윽 소개

블로그에 글을 정리하면서 짧지만 작은 전자책을 하나 내어 봐야겠다고 마음 먹은 것이 꽤 오래되었습니다만 이 핑계 저 핑계 되면서 미루어 오다 드디어 7월 가기 전에 미니 전자책 하나를 등록해보게 되었습니다. 웹기획을 하면서 이런 부분은 개념 정리되고 시작하면 감을 잡고 일을 하기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30분 정도만 시간 내어서 쓰윽 읽어보면 좋을 가이드 북으로 준비했습니다. 웹기획을 시작하려는 분들에게 쉬운 가이드북이 될 수 있다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래는 크몽에 등록한 가이드북에 대한 책 설명과 미리보기를 이 곳에도 올려 보았습니다. 링크를 통해 크몽에서 직접 확인하실수도 있습니다. ;-) 책내용 미리보기 크몽에 웹기획 쓰윽 전자책 구매하러가기

웹기획 2023.07.31

UX(User Experience)에 사용되는 용어와 관련 산출물

웹기획이라는 말대신 요즘은 UX/UI 디자이너라는 말이 많이 사용되는 것 같습니다. 다양한 현장을 경험하게 되면 각 현장에서 최신의 트렌드에 맞춰 용어들이 변화되는 것들을 느끼게 되는데요. PM이라는 용어 대신 웹기획이라고 하기도 하고 PL이라는 이름을 붙이기도 하더군요. 조금씩 그 역할의 범위가 다르긴 하지만, 대체로 고객의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그 요구사항을 구현하도록 가이드라인을 잡는 사람 정도가 적합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좁고 깊게 들어가느냐 넓게 두루 보느냐에 따라 역할의 범위가 조금씩 달라지는 것 같습니다. 이 글은 UX에 대해 정의하고 UX업무를 수행할 때 주로 사용되는 용어가 무엇이 있는지 각 용어에 따른 산출물들은 무엇이 있을지에 대해서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UX(User Ex..

웹기획 2023.04.13

노코드 개발 툴을 이용하여 일기장 앱 출시가 가능할까?

요즘은 정말 다양한 노코드 개발툴이 있는것 같다. 이런저런 이유로 좀더 심플하게 기획한 것을 프로토타이핑할 수 없을까 하는 생각에 노코드앱을 찾아보게 되었다. 실제로 개발에 들어가게 되면 여러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하고 시간과 비용이 많다. 그리고 상상한 것을 빠른시간내 구현해내는 실력있고 열정있는 사람을 찾기도 쉽지는 않다. 쉽고 빠르게 머리 속에 있는 것을 정리하면서 실제 구동가능한 것인가? 이게 유용한것인가? 보고 느낄만한 무언가가 필요하기도 하고, 그대로 출시할 수 있으면 더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이르면서 이를 도와줄 툴이 있을까하여 찾아보게 되었다. 오래 전에 개발한 이력이 있으니 툴 이해하기는 좀 쉽지 않을까 하여 찾아봤는데 광범위하기도 하고 그것을 제대로 다루려면 학습또한 필요하다. 일단 ..

웹기획 2023.04.09

[SW]워드프레스 사용 01 - 호스팅이란

워드프레스와 추억 워드프레스를 처음 접하게 된 것이 아마도 2004년? 2005년? 즈음이지 않았을까 싶다. 벌써 20년이 훌쩍 넘은 이야기다. 당시 나는 여러 프로젝트를 맡으면서 좀 더 빠르게 웹사이트를 만들어 낼 도구가 없을까 하여 여기저기 정보를 뒤졌었다. 요즘에야 자동화된 툴들이 워낙 많이 나오고 디자인도 훨씬 좋아졌지만 20여 년 전은 인터넷, 웹이라는 단어들이 사용되는 초창기였고 다양한 변화를 겪고 있었다. 그럼에도 자동화된 다양한 툴들이 조금씩 그 시작을 알리던 시기이기도 했다. 워드프레스 외에도 줌라 그 외에도 몇 가지 더 봤던 것 같은데 지금은 기억이 희미해졌다. 그때 당시 워드프레스는 블로그를 대신하지만 좀 더 진화된 즉, 사용자의 역량에 따라 좀 더 유동적으로 변화시킨 블로그 또는 웹..

프로젝트관리 2023.03.02
반응형